상단영역

본문영역

[여행작가 이신화의 유럽 인문 여행] 오래된 성채 골목 탐험하기

  • 기자명 이신화
  • 입력 2025.05.23 10:00
  • 댓글 0
  • 사진(제공) : 이신화
루치안 블라가 도서관.
루치안 블라가 도서관.

클루지나포카 중앙대학교 도서관

숙소를 나와 조금 다른 길로 걸었다. 얼마 가지 않아 웅장하고 고풍스러운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루치안 블라가 중앙대학교 도서관(Lucian Blaga Central University Library)이다. 1872년에 설립된 이 도서관은 현재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의 중앙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입구 앞에는 루치안 블라가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도서관의 초기 장서 18,000여 권은 시비우 법학 아카데미, 클루지 의과대학, 정부 기록보관소, 그리고 이오시프 베니니(Iosif Benigni)의 방대한 개인 소장품 등에서 수집됐다.

한편, 트란실바니아 박물관 협회 도서관은 1859년 안드레이 샤구나 대주교, 알렉산드루 스테르차-술루치우 대주교, 임레 미코 백작의 기부와 지원으로 설립된 도서관이다. 이 도서관은 1860년에 시민에게 개방되며 ‘공공 도서관’으로 기능했으나, 1873/74년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가 설립되면서 대학 소속으로 편입되었고, 중앙 도서관 인근으로 이전되었다. 이처럼 두 도서관은 한 건물 안에 있으면서도 약 반세기 동안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성장해왔다. 

대학 도서관.
대학 도서관.

1차 세계대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고, 트란실바니아 지역(클루지를 포함)이 루마니아에 합병되면서, 1920년 클루지에 새로운 루마니아 대학이 설립되었다. 이 대학은 기존의 중앙 대학 도서관(왕실에 헌정된 뒤, ‘페르디난트 1세 대학 도서관’으로 개칭)과 트란실바니아 박물관 도서관을 모두 활용했지만, 두 기관은 여전히 별도로 운영되었다. 두 도서관은 1948년,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이르러서야 하나로 통합되었다.

루마니아 대학은 설립 직후부터 법적 납본 사본을 지원받고 국가의 영구 보조금도 책정받는 등 빠르게 성장했다. 특히 루마니아 아카데미, 교육부, 부쿠레슈티 대학 등 주요 기관이 도서관 발전에 기여했다. 루마니아 아카데미 도서관은 출판물을 기증하기도 했다.

아카데미아 건물.
아카데미아 건물.

1920년 10월 10일에 발행된 첫 번째 대학 보고서에는 루마니아 아카데미의 “엄숙한 약속”이 언급돼 있으며, 1921/22학년도 보고서에서는 약 30,000권의 책이 기증되었음을 밝혀져 있다. 이 책들 대부분은 루마니아 아카데미 도서관이 기증한 것이다. 이어 1923년 9월 26일, 약 4,000권 규모의 또 다른 컬렉션이 루마니아 아카데미에서 추가로 이전되었다. 

1959년, 여러 기관적 변화를 거쳐 오늘날의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가 된 클루지 대학교 역시, 부쿠레슈티 대학교와 이아시 대학교처럼 학부별 섹션과 도서관 지점의 전문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전문화는 도서관 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주었고, 그 결과 1938년까지 도서관과 관련 네트워크의 소장 자료는 58만 권에 달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도서관은 200만 권이 넘는 도서와 정기 간행물을 보유하게 되었고, 이는 루마니아 내 두 개의 국립 도서관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규모였다. 2002년에는 그 수가 약 360만 권에 이르렀다. 

또한 도서관은 희귀 자료를 별도로 보관·관리하는 특수 컬렉션 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이 부서는 1923년 몰도바의 보야르 귀족인 게오르게 시온(Gheorghe Sion)의 기증 컬렉션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현재 이곳에는 트란실바니아 박물관 컬렉션에서 이어받은 항목을 포함해, 고지도, 조각, 엽서, 희귀본 등이 보존되어 있다. 대표적인 소장품으로는 1475년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인쇄된 Codex Iustinianus 사본과, 1561년 브라쇼브에서 집사 코레시(Coresi)가 인쇄한 복음서 세트가 있다. 

골목.
골목.

골목길에서 바라본 도서관

이 도서관은 창립 이후 1909년까지 대학 본관 내에서 운영되었다. 이후 1906년부터 1908년까지, 헝가리 출신 건축가 칼만 기어글(Kálmán Giergl)과 플로리스 코르브(Flóris Korb)의 설계에 따라 현재의 도서관 건물이 지어졌고, 1908년부터 1909년에 걸쳐 도서들이 이곳으로 이전되었다. 

건물은 이후에도 꾸준히 확장되었다. 1934년까지 본관이 확대되었고, 1961년에는 200만 권 이상의 장서를 수용할 수 있는 별관이 신축되었다. 또 1996년부터는 도서관 자체 학술지인 Philobiblon을 2년마다 정기 발행하며 학술 활동의 폭도 넓혔다.

클루지의 학생 문화관

도시의 상징적 문화 공간 중 하나인 두미트루 퍼르커시 학생 문화관(Dumitru Fărcaş Student Culture Center)은 클루지의 대표적인 문화 랜드마크로 꼽힌다. 이곳에서는 유명 음악가와 연극인이 무대에 올랐으며, 지식인들이 주최한 전시와 콘퍼런스가 열리기도 했다. 즉, 단순한 행사장이 아닌, 자유로운 젊은 영혼들이 드나들며 여가를 즐기고, 예술적 감성을 키우는 공간이었다.

사실 1956년 이전까지 클루지의 대학생들은 시내 7개 고등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간이 공간에서 임시 클럽 형식으로 문화 활동을 이어왔다. 1921년부터 지역 신문에는 “학생들도 전용 문화 공간을 갖고 싶다”는 목소리가 등장했는데, 이 오랜 바람은 1956년, 학생 협회 설립과 함께 모든 대학에 '학생 문화의 집'을 세우자는 정부의 특별 결정으로 결실을 맺게 됐다.

이 결정에 따라 1956년 10월 초, 학생과 젊은 학자들로 구성된 임시 위원회가 구성되어 '학생 문화의 집' 설립을 책임지게 되었다. 클루지나포카의 임시 위원회는 ‘빅터 바베스 의과대학’ 소속의 문화 담당 조교수였던 호도로그 로렌츠(Hodorog Lorentz)를 초대 국장으로 추천했고, 그는 교육부 산하의 학생 문화 부서로부터 공식 임명을 받았다.

1957년 2월 10일, 학생 문화관은 음악과 유머 프로그램을 다루는 곳으로 개관했다. 이후 1957년부터 1959년까지 다양한 이론·실습 중심의 예술 그룹과 서클들이 모이게 되었고, 당시 활동한 그룹은 다음과 같다.

포크 밴드, 혼성 합창단, 밴드 연주 두 팀, 낭송가 서클, 재즈 및 팝 음악 밴드,

현대 무용단, 사진 및 영화 클럽, 미술사 통신 교육 서클, 문학 서클

카페의 조식.
카페의 조식.

성벽 옆에 있는 카페가 운치 있어 영국식 조식을 시켰다

앞자리, 한 남자가 앉아 커피를 마신다묶은 머리에 검은 피부, 걸친 셔츠는 하얗다. 아주 작은 컵에 담긴 에스프레소 한 잔과 얼음이 들어간 콜라를 나눠 마신다노트북을 펼쳐 놓고 무언가 열심히 자판을 움직인다

난 그의 모습을 몰래 훔쳐 보면서 행복에 젖는다

먼저 나온 카푸치노가 거의 식어갈 때 차려진 영국인 아침.

영국인들이 이렇게 맛있게 먹었나.

성벽.
성벽.

클루지 성채의 역사

클루지나포카에서는 오늘날에도 재단사 탑(Tailors' Bastion)을 비롯해 일부 성벽 유적을 간간이 마주칠 수 있다. 고대 도시 대부분이 그러하듯, 클루지 또한 오랜 역사를 지닌 방어 시설들을 갖추고 있다.

클루지의 성벽 역사는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앞서 언급했듯이, 기원후 124년경 로마 제국이 ‘나포카(Municipium Aelium Hadrianum Napoca)’를 세웠을 당시에도 이미 성벽은 존재했다. 이후 두 번째 정착지였던 ‘카스트룸 클루스(Castrum Clus)’ 시기에도 성채가 있었다.

중세에 들어 헝가리의 스테판 5세(Stefan V) 왕 통치 기간 중 타타르족의 침입으로 도시가 큰 피해를 입었고, 인구가 대규모로 학살당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이후 헝가리 왕국은 색슨족 이주민들을 클루지로 이주시켜, 클루지 성채를 중심으로 정착하도록 했다.

1405년, 헝가리 왕이자 룩셈부르크 가문의 로마-독일 황제였던 지기스문트(Sigismund)는 클루지에 ‘자유 왕립 도시(Free Royal City)’ 지위를 부여했다. 이 특권을 계기로 클루지는 상품 생산과 교환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공예 활동도 활발해져 여러 길드가 조직될 수 있었다. 또한 도시는 성벽, 요새, 방어 탑을 건설할 권한을 부여받았고, 중세 후기에 걸쳐 성곽 건설이 활발히 진행될 수 있었다. 성벽 건설은 16세기 말까지 이어졌으며, 전성기에는 약 20개의 방어 탑과 성문이 도시에 존재했다. 이때 중세 방어벽의 각 요새는 재단사, 제화공, 끈공, 장의사, 도예공, 방적공, 비누 제조공, 목수, 석공 등 다양한 직업 길드들의 지원을 받았다.

재단사탑.
재단사탑.

재단사 탑, 문화센터가 되다

클루지나포카의 국립극장 뒤편으로는 화려한 건물들이 줄지어 있다.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붉은색 대형 건물은 클루지나포카 시 법원(Palace of Justice, Cluj-Napoca)이다. 규모는 압도적이지만, 여행자 입장에서 특별히 발길을 멈출 만한 공간은 아니다.

개인적으로 더 눈길이 갔던 곳은 낡은 영화관 ‘빅토리아 극장(Cinema Victoria)’이다. 오페라 극장 건너편에 자리한 이 공간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장소는 아니지만, 왠지 지역 주민들의 일상과 속내를 엿볼 수 있을 것 같았다. 다만 그날은 시간 여유가 없어 그냥 지나쳤다. 극장 옆에는 작은 공원 ‘오페라 공원(Parcul Operei)’이 펼쳐져 있고, 인근에는 무역 회사 건물(Registrul Comerțului Cluj)도 자리하고 있다.

주마간산으로 주변을 둘러보며 걸으면, 대로에서 살짝 들어간 골목 안쪽에서 독특한 외관의 건축물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바로 ‘재단사 탑(Cluj Tailors’ Tower)’이다. 과거 중세 방어 체계의 일부였던 이 탑은 현재 문화 센터로 리모델링되어 시민과 여행자 모두에게 개방된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 건물 1층에는 전시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층부에는 소규모 도서관과 컨퍼런스 룸이 위치해 있다. 내부는 탑의 외부 구조가 그대로 보이도록 개조되어 있어, 과거의 흔적을 느끼며 내부를 둘러볼 수 있다. 무엇보다 이곳은 입장료가 무료라 더욱 반갑다.

재단사 탑 앞 광장에는 바바 노바크(Baba Novac, 또는 스타리나 노바크 Starina Novak, 1520/1530~1601)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재단사탑 입구.
재단사탑 입구.

클루지나포카에 남은 유일한 길드 탑

오늘날 클루지나포카 성채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길드 탑은 바로 재단사 탑(Cluj Tailors' Tower)이다. 이 탑은 도시 성벽의 남동쪽 모서리에 위치해 있으며, 1456년부터 1475년까지 재단사 길드가 납부한 세금과 기부금으로 건설 및 유지 비용을 충당했다.

1627년부터 1629년 사이, 가브리엘 베들렌(Gabriel Bethlen) 왕자의 통치기에 이르러, 이탈리아 건축가 자코모 레스티(Giacomo Resti)의 설계에 따라 탑과 요새가 재건되었다. 당시 요새는 화약고로 사용되었으나, 번개에 의한 폭발 사고로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돌로 된 탑 외벽에는 당시 무기를 발사하던 사격 구멍이 여전히 남아 있다. 북쪽 방향으로는 흉벽을 갖춘 성벽 일부와 경비로가 있는 돌담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어, 중세 방어 체계의 흔적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이 요새는 1924년 역사기념물위원회의 주도로 복원되어 박물관으로 전환되었고, 이후 1959년에도 추가 복원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후 약 20년간 방치되며 파손이 이어졌다. 1990년대 초반 다시 복원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실행되지 못했고, 결국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복원 사업을 통해 지금의 문화 센터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현재 재단사 탑은 컨퍼런스 홀과 전시 공간을 갖춘 도시 문화 센터로 운영되고 있으며, 역사적 상징성과 함께 시민 문화 공간으로도 역할을 하고 있다. 탑은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거쳤지만, 지금의 모습은 1627~1629년 재건 당시의 형상을 따르고 있다.

필자가 방문했을 당시에는 루마니아의 생물학자이자 동굴학자, 남극 탐험가인 에밀 라코비차(Emil Gheorghe Racoviță, 1868~1947)의 생애를 조명한 사진 전시가 진행 중이었다. 그가 설립한 대학에 대한 내용은 이후에 따로 다룰 예정이다.

바바노바크 동상.
바바노바크 동상.

바바 노바크 동상

클루지나포카 재단사 탑 앞에는 바바 노바크(Baba Novac, 또는 스타리나 노바크 Starina Novak, 1520년 또는 1530년~1601년)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그는 트란실바니아의 군주, 미하엘(Michael the Brave, 1558년~1601)의 충직한 장군이었다. 미하엘은 루마니아 역사에서 위대한 군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601년, 그는 군주와 함께 미라슬라우 전투(Battle of Miraslău)에 참전했다. 그러나 전투 후, 그는 사스키(Saski) 신부와 함께 반역 혐의로 클루지 성채에서 체포되었고, 재판 끝에 처형되었다. 당시 그의 나이는 80세를 넘긴 고령이었으며, 그의 시신은 요새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이후 그의 용기와 충절을 기리기 위해, 1975년 조각가이자 시인이며 대학교수였던 비르질 풀리체아(Virgil Fulicea, 1907~1979)가 그의 동상을 제작해 현재의 자리에 세웠다.

그는 루마니아 민중에게 ‘무법의 장군’이라 불릴 만큼 전설적인 존재로 남았으며, 2005년에는 루마니아 록 밴드 피닉스(Phoenix)가 그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노래를 발표하기도 했다.

그리스카톨릭교회.
그리스카톨릭교회.

20세기 순교자와 참회자의 그리스 가톨릭 대성당

재단사 탑에서 시선을 돌리면, 20세기 순교자와 참회자의 그리스 가톨릭 대성당(The Greek-Catholic Cathedral of the Martyrs and Confessors of the 20th Century)이 눈에 들어온다. 큰 규모의 건물로, 필자가 방문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공사 중이었다. 놀랍게도 이 성당은 지금까지도 완공되지 않은 상태다.

자료에 따르면, 대성당의 초석은 1991년 1월에 놓였고, 본격적인 공사는 1992년에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후 자금 부족과 디자인의 수정 등 여러 문제로 인해 공사는 수차례 중단되고 지연되었다.

이 교회의 뿌리는 1930년, 클루지나포카에서 약 45km 떨어진 게를라(Gherla)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다 클루지로 이전하면서, 그리스 가톨릭의 소수 민족 교회가 되었다. 건축적으로 이 성당은 팔각형 평면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세 방향에 출입구가 있다. 그중 북쪽 입구는 아치형이다.


Travel Data

클루지나포카 중앙대학교 도서관(Lucian Blaga Central University Library):주소:Str. Clinicilor 2, Cluj-Napoca 400006 루마니아/전화:+40264597092/웹사이트:https://www.bcucluj.ro/

학생문화의 집:주소:Piața Lucian Blaga 1-3,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전화:+40264598024/웹사이트:https://ccscluj.ro/

루마니아 학회:주소:Str. Republicii 9,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전화:+40264592363/웹사이트:https://acad-cj.ro/

성벽 카페, 마케브(Makeb):주소:Strada Inocențiu Micu Klein 23,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전화:+40787710900/웹사이트:https://makeba.ro/

성벽:주소:Strada Potaissa, Cluj-Napoca, 루마니아

루마니아 아카데미아(Academia Română):주소:Str. Republicii 9,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전화:+40264592363

아브람 이안쿠의 집(Avram Iancu House):주소:Str. Avram Iancu 17,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

의과대학(UMF Iuliu Hatieganu Nursing):Str. Avram Iancu 31,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

Iuliu Hațieganu University of Medicine and Pharmacy:주소: Strada Victor Babeș 8,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

학부생 수: 7,153 ; 창립: 1919년 ; 전화번호: +40 264 597 256

재단사 탑(Cluj Tailors' Tower, Turnul Croitorilor) 문화원:주소:Strada Baba Novac 35, Cluj-Napoca 400097 루마니아/웹사이트:https://culturaurbana.ro/

바바 노바츠 동상:주소:Str. Avram Iancu 78, Cluj-Napoca 400394 루마니아

20세기 순교자와 참회자의 대성당(Catedrala Martirilor si Marturisitorilor secolului XX)과 성 요제프 예배당(Chapel of St. Joseph):주소:Piața Timotei Cipariu, Cluj-Napoca 400394 루마니아/전화:+40745265935/웹사이트:https://parohiaandreimuresanu.ro/

저작권자 © 여성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ditor's Pick
최신기사
포토뉴스
추천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