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작가 이신화의 유럽 인문 여행] 클루지 나포카의 칼뱅 교회와 대학가 골목

2025-05-30     이신화
대학 거리.

16세기에 완공된 로마 카톨릭 프란체스코 수도원

재단사 탑을 지나 미하일 코갈니세아누(Strada Mihail Kogălniceanu) 골목으로 들어선다. 소박한 형태의 고딕 양식 교회가 눈에 들어오는데, 왠지 느낌이 남다르다. 입구에 있는 아주 강렬한 동상 때문이다. 이곳은 ‘늑대의 길’이라는 뜻의 울리차 루필로르(Ulica Lupilor)에 위치한 개혁교회(Biserica reformată de pe Ulița Lupilor)로, 클루지 나포카의 역사적 기념물이다.

이 건물은 1487년 프란체스코 수도원으로 착공되어 1510년 완공되었다. 헝가리 왕 마티아스 코르비누스(1443~1490)가 지원했다. 이후 블라디슬라프 2세가 소금 채굴 수입으로 공사를 이어갔다. 중세 요새 형태로 건축돼 ‘요새 교회’로도 불린다. 1566년 종교개혁으로 프란체스코 수도사들이 쫓겨나면서 방치 되었다.

예수회 대학

1579년, 트란실바니아 왕자 크리스토포 바토리(Cristofor Báthory, 1530~1581)가 수도원이 있던 자리에 로마 카톨릭 예수회 대학을 세웠다. 이 대학은 빠르게 명성을 얻었고, 1583년에는 150명이 넘는 젊은이들이 이곳에서 교육을 받았다. 루마니아 왕 미하이 비테아줄의 아들 니콜라에 파트라슈쿠도 이곳에서 수학했다. 당시의 벽 일부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

1603년 유니테리언 교도들의 공격으로 교회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그 중 한 명이 돌에 맞아 사망하자 이를 신의 계시로 받아들여 공격이 즉시 중지됐다. 성소의 둥근 천장은 심하게 파괴되어 한동안 창고가 되었고, 교회 건물은 다른 건물의 석재 공급원으로 사용되었다.

칼뱅 개혁 교회. 

17세기, 칼뱅 개혁교회로의 전환

1622년 가브리엘 베들렌(1580~1629) 왕이 이 건물을 칼뱅주의 개혁파에게 넘겼다. 그러나 1627년 화약 폭발로 다시 피해를 입었고, 1638년에서 1645년까지 게오르게 라코치 1세(Gheorghe Rákóczi I, 1593~1648)의 주도로 복원됐다. 라트비아(당시에는 Courland)의 장인을 데려와 원래의 아치 천장(vault)을 수리했고, 설교단을 르네상스 스타일로 제작했다. 남쪽 종탑에는 거대한 종을 설치했고, 1640년에는 실내 가구도 제작했다. 특히 상감 장식의 칠석 육각형 성서대는 17세기 트란실바니아 조각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비스트리차와 시비우의 장인들이 만든 벤치는 쉼터 기둥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었다. 1647년에 봉헌식을 했다.

1765년에는 최초의 오르간이 설치되었다. 1820년에는 상감세공으로 장식된 예수상이 제작되었고, 이후 네오고딕 양식 발코니 신축 등 보수가 이어졌으며, 이 교회는 트란실바니아와 유럽 남동부에서 가장 큰 홀형 고딕 건축물로 평가받았다. 1603년, 여행자 조반니 아르헨티는 이곳을 “트란실바니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이라고 묘사했다.

교회 내부에는 헝가리 귀족들의 문장, 트란실바니아의 마지막 공작 미카엘 아파피 2세(Michael Apafi II, 1676~1713)의 묘비가 있다. 고딕 양식으로 만든 설교단, 콜로닉스 이츠반이 만든 파이프 오르간, 격자 천장도 있다. 이 천장은 클루지 출신의 로린츠 우밀그가 만들었고, 점성술 달력이 그려져 있다. 또한 헝가리 국민 시인 페티피 산도르 등의 명패가 있다. 이곳은 1960년부터 오르간 연주회가 열리는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성 조지 청동상.

성 조지 청동상

이 개혁교회의 가장 큰 매력은 성 조지(St George) 승마 청동상이다. 사슬 갑옷의 성 조지가 드래곤을 찌르고 있는 이 동상은 굉장히 매력적이다. 갑옷의 디테일과 용의 비늘이 동일하게 표현된 이 상은 뛰어난 조형미를 자랑한다. 시인 루시안 블라가도 이 동상에 영감을 받아 ‘성 조지 동상 앞에서’라는 시를 썼다.

이 동상은 프라하에 있는 1373년작 원본의 사본이다. 1373년 보헤미아 왕 카를 4세 황제의 명령에 따라 클루지 출신 화가 마르틴(Martin)과 게오르게(Gheorghe) 형제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는 유럽 최초의 공공 승마 청동상이며, 유럽 초기 르네상스에 작품에 속한다. 원래 프라하 왕궁에 안치되었으나 성의 여러 지점으로 이동했고, 현재는 대성당 남쪽 분수 근처 ‘제3뜰’에 있다.

클루지에 이 동상을 놓은 이는 역사가 산도르 마르키(Sándor Márki)였다. 1896년에 트란실바니아에서 열린 ‘헝가리인 해체 1000주년 기념 행사’에서 결정되었다. 프란츠 요제프 황제는 프라하에 있는 동상의 사본 두 개를 석고로 주조하도록 의뢰했다. 1904년, 조각가 요제프 로나(József Róna, 1861~1939)가 제작했고, 받침대는 칼만 룩스(Kálmán Lux, 1880~1961)의 작품이다.

교회 뒤편에는 예수회 대학의 벽(The wall of the Major Jesuit College)이, 앞에는 개혁 교구 사무소(Downtown Reformed Parish Pastor's Office)가 남아 있다. 자료를 찾기 어려운 곳이지만, 자세히 알아 보면 흥미로운 역사를 품고 있다.

예수회 대학 벽.

미하일 코갈니세아누 골목

칼뱅 개혁교회를 시작으로 미하일 코갈니세아누 골목이 이어진다. 이 골목의 옛 이름은 '울리차 루필로르'(Ulica Lupilor), 루마니아어로 ‘늑대의 길’을 뜻한다. 이름처럼 과거 늑대들이 자주 출몰하던 곳이었다. 15세기 도시 확장과 방어벽 건설로 이 지역이 고립되면서 야생동물의 출입이 잦아졌다. 특히 1922년 겨울에는 눈과 추위로 인해 늑대 떼가 골목에 내려와 주민들이 공포에 떨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이 골목에는 클루지 나포카의 대표적 건물들이 밀집해 있다. 앞서 소개한 칼뱅 개혁교회는 물론, 루마니아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인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를 비롯해 에밀 라코비차 대학교, 바토리 이스트반 이론고등학교, 개혁 신학 고등학교, 아카데믹 칼리지, 국립기록보관소, 아카데미 도서관, 텔레키 궁전 등이 위치해 있다. 1798년 대화재 이후 재정비 되었으며, 최근 보행자 전용 거리로 탈바꿈했다.

에밀 라코비다 학교.

에밀 라코비차 국립대학

골목 안에는 에밀 라코비차 국립대학(National College Emil Racovita)이 있다. 1919년 10월 11일 남녀공학 공립학교로 설립되어 1920년에 기숙 학교로 확장되었다. 1921년부터 1922년까지는 184명의 학생 중 절반이 기숙 생활을 했다. 1922년부터 대학 교육학 신학교로 전환되었으며, 1948년까지 유지되었다. 현재는 도시에서 가장 뛰어난 학교 중 하나로, 수학, 컴퓨터 과학, 자연 과학 수업에 영어 중심 교육을 병행한다.

에밀 라코비차 동상

학교 앞에는 에밀 라코비차(Emil Gheorghe Racovişă, 1868~1947)의 흉상이 있다. 1993년에 조각된 흉상은 최근 도시 재개발 작업이 시작되면서 옮겨졌다가 2023년에 다시 돌아왔다.

에밀 라코비차 동상.

에밀 라코비차는 루마니아의 생물학자, 동물학자, 동굴학자 및 남극 탐험가다. 그는 그리고레 안티파(Grigore Antipa, 1867~1944)와 함께 루마니아에서 가장 유명한 자연 과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라코비차는 남극으로 탐험을 떠난 최초의 루마니아인이었다. 영향력 있는 교수, 학자, 연구자로서 루마니아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했다.

남극을 탐험한 최초의 루마니아 과학자

이아시에서 태어난 라코비차는 파리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나, 소르본 대학의 자연 과학 전공으로 전향했다. 그는 벨지차(Belgica) 호를 타고 남극으로 연구를 떠난 19명 중 한 명이었다. 이 선박의 일등 항해사는 1911년에 남극점을 정복한 ‘로알 아문센’이었다.

라코비타는 남극권 너머에서 식물과 동물학 샘플을 수집했다. 남극 최초의 꽃식물을 발견했고, 일년 내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곤충인 날 수 없는 모기 ‘벨치차 안타르티카’(Belgica antarctica)의 기준 표본을 수집했다.

남극 원정대는 여러 난관에 부딪혔다. 예를 들어, 배가 얼음 사이에 끼어 더는 항해할 수 없었기에, 승무원이 6m 두께의 얼음 층을 뚫고 75m 길이의 운하를 파서 수로를 만들어야 했다. 당시 라코비타의 일기에는 팀원들이 견뎌야 했던 어려움이 언급되어 있다. 그는 탐험기를 바탕으로 ‘남극의 동식물의 삶’(La vie des animaux et des plantes dans l'Antarctique)을 출판했다.

에밀 라코비차 탐사 때 모습.

이후 프랑스, 스페인, 알제리,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등에서 1,400개 이상의 동굴을 탐험하고, 수많은 등각류(等脚類, Isopods)를 발견했다. 1919년 클루지나포카의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 전신인 어퍼 다치아 대학교에서 생물학과장이 되었고, 1920년 세계 최초의 동굴 연구소를 설립했다. 이후 루마니아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 회장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 피난과 복귀를 반복한 끝에 1947년 클루지나포카에서 생을 마쳤다.

아르델란 학교 조각상 그룹

이 대학 골목에는 단과 대학과 고등학교 건물이 함께 모여 있다. 그 중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 정문 옆 도로변에는 '아르델란 학교(Ardelean School) 조각상 그룹'이라는 청동상이 세워져 있다. ‘아르델란’은 ‘트란실바니아인’(Transylvanian)이라는 뜻이므로, 동상은 트란실바니아 학파를 대표하는 세 인물을 기린다. 사무일 미쿠-클레인(Samuil Micu-Klein, 1745~1806), 게오르게 신카이(Gheorghe Şincai, 1754~1816), 페트루 마이올(Petru Maior, 1756~1821)이다.

사무일 미쿠-클레인은 루마니아의 그리스-가톨릭 신학자이자 철학자, 역사가, 문헌학자이며, 계몽주의 시대 트란실바니아 학파 운동의 주요 인물이다. 게오르게 신카이와 페트루 마이올은 모두 역사가, 언어학자, 번역가, 시인으로 활동했다. 이 청동상은 조각가이자 교수였던 로물루스 라데아(Romulus Ladea, 1901~1970)의 작품으로, 1973년에 공개됐다.

대학에서 만난 학생 1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

여행 당시 공사 중이던 도서관(Biblioteca Academiei Cluj-Napoca)에는 역사적인 벽보로 가득 채워져 있었다. 캠퍼스 앞에서는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 영화·연극 전공 학생 두 명을 만났다. 시험이 끝난 해방감에 기뻐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이 대학교는 단과대 건물이 흩어져 있어 본관 내부는 들어가 보지 못했다. 1851년에 개교한 이 학교는 루마니아의 '서울대'에 비견된다.

이 대학의 전신은 1581년 설립된 ‘아카데미아 클라우디오폴리타나’(Academia Claudiopolitana)다. 이후 수차례 개편을 거쳐 볼리아이 대학과 바베슈 대학이 통합되면서 현재의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가 되었다. 루마니아 교육연구부가 2016년부터 시행한 대학 메타랭킹에서 1위를 차지했다.

1959년 두 학교 통합 당시, 대학 이름은 루마니아 세균학자 빅토르 바베슈(Victor Babeș, 1854~1926)와 헝가리 수학자 야노스 볼리아이(János Bolyai, 1802~1860)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8세기 말부터 이 기관은 ‘Universitas Claudiopolitana’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당시 교육 언어는 라틴어였다가 이후 독일어로 바뀌었다.

1753년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가 이 대학에 제국 지위를 부여했으며, 1773년 예수회 해체 후 피아리스트 수도회가 운영을 맡았다. 이후 외과·의학 연구소, 법학 아카데미 등의 준대학 기관들이 운영되다 프란츠 요제프 대학에 통합되었다. 1848년 유럽 혁명의 이후 루마니아 민족 긍정과 함께 루마니아어 교육 문제가 제기되었다. 1870년에는 교육부 장관 요제프 에트뵈시(József Eötvös)는 헝가리어, 루마니아어, 독일어로 가르치는 대학 설립을 제안했고, 이는 루마니아 엘리트층에서 환영받았다. 하지만 그가 사망하고 1872년 프란츠 요제프 1세가 헝가리어로만 교육하는 ‘콜로즈바르 헝가리 왕립 대학’을 설립하면서 실현되진 않았다. 이는 루마니아인들에게 불만을 샀다.

초기에는 258명의 학생이 4개 학부에서 수업을 받았다. 법학, 국가 과학, 의학, 철학, 문학, 역사부, 수학, 자연 과학부로 구성되어 있었고, 각각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자율권을 누렸다. 네 학부 외에도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학 연구소가 설립되었고, 1895년부터는 여성의 강의 수강도 허용되었다.

바베스 대학 학부.

1차 세계 대전 후, 루마니아 당국이 이 대학을 인수하면서 왕립 헝가리 프란츠 요제프 대학은 루마니아 국립 대학으로 전환되었다. 충성을 맹세하지 않은 헝가리 직원들은 세게드로 이주하여 세게드 대학 설립에 기여했다. 1919년 11월 3일 바실 파르반(Vasile Pârvan)이 ‘우리 삶의 의무;라는 제목으로 개교 연설을 했고, 1920년 루마니아 페르디난트 1세(King Ferdinand I)왕에 의해 개교식이 거행되었다.

1940년에 헝가리가 북부 트란실바니아의 영토를 얻은 뒤, 대학은 티미쇼아라와 시비우로 이전되었다. 통합 이후 구조를 재편해 1995년부터는 다문화 교육 체계를 도입했다. 오늘날 인문학, 사회과학, 생명과학, 자연과학부터 수학, 컴퓨터 과학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갖춘 복합 대학이 되었다.

대학의 중앙 건물

톨달라기코르다 궁전(Tholdalagy-Korda Palace)은 바베슈-볼리아이 대학의 기술 행정 본부로 사용된다. 캠퍼스는 도시 전역에 분포하며, 17개 학생 기숙사에는 총 5,280개의 숙소가 마련되어 있다. ‘Hașdeu’와 ‘Economica’ 구역이 대표적이다. 모든 기숙사는 단열 및 리노베이션이 완료되어 있으며, 이중창과 나무 또는 칩보드 가구를 갖추고 있다. 루시안 블라가 대학 도서관은 시내 중심부에 있다. 문화 시설로는 2001년 설립된 대학 박물관 외에도 광물학 박물관, 식물 박물관, 고생물학·지층학 박물관, 동물 사육장, 동물학 박물관 등이 있다.

바베스 대학 학생들.

대학의 학업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는 2021년 기준 약 5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1993년 12,247명이었던 학생 수는 2021년 48,620명으로 약 4배 증가했다. 학생 구성은 박사 과정 2,239명, 석사 과정 9,543명, 학부생 33,139명이다. 이 대학에는 22개의 학부와 55,000명 이상의 학술 커뮤니티가 있다.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과 고급 대학원 과정도 제공한다. UBB는 유럽에서 정교회, 개혁교회, 로마 가톨릭, 그리스 가톨릭 등 4개 신학부를 모두 갖춘 유일한 대학이다.

다문화 대학인 이곳은 교육 체계에서도 특성이 드러난다. 루마니아어로는 학사 148개, 석사 143개 등 총 291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헝가리어로는 학사 70개, 석사 40개, 총 110개 프로그램이 있다. 독일어로는 학사 10개, 석사 5개 등 총 15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다. 헝가리계와 독일계 소수민족은 교수협의회와 대학 상원에 비례 대표된다. 외국인 유학생 중 41.5%는 몰도바와 우크라이나, 27.4%는 EU 및 EEA, 31.1%는 비EU·비EEA 국가 출신이다.

바베스-볼리아이 대학교 본관

클루지나포카는 오랜 고등교육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UBB)는 이 나라에서 가장 큰 대학교다. 이곳은 예수회 대학이 최초로 클루지에 문을 연 158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황제 프란츠 요제프가 대학교를 설립한 것은 1872년이었고, 이후 프란츠 요제프 대학교(József Ferenc Tudományegyetem)로 개칭한다.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이곳은 부다페스트로 이전되어 1921년까지 머물렀다가, 다시 헝가리 세게드로 이전된다. 루마니아 지부는 바베슈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헝가리 대학인 볼리아이가 1945년에 설립되었고, 두곳은 1959년에 합병된다.

대학에서 만난 학생 2

이 도시에는 또한 기술 대학이 울리우 하티에가누 의과대학 및 약학대학, 클루지나포카 농업과학 및 수의대학(USAMV), 예술디자인 대학, 게오르게 디마 음악 아카데미 및 기타 사립 대학과 교육 기관을 포함해 9개의 다른 대학이 있다. 도시에서 공교육이 처음 언급된 것은 140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Caspar notarius et rector scholarum"(Caspar 비서 및 학교장)이라는 캡션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동시에 14세기에 설립된 가톨릭 학교도 이 도시에서 운영되었다.

오늘날 클루지나포카에는 62개의 유치원, 30개의 초등학교, 45개의 고등학교를 포함해 약 150개의 대학 예비 교육 기관이 운영되고 있다. 이들의 활동은 주 교육 위원회에서 감독한다. 대부분의 학교는 루마니아어로 수업을 진행 하지만, 헝가리어 학교(Báthory István, Apáczai Csere János, Brassai Sámuel 고등학교)와 루마니아어, 독일어 수업과 루마니아어,헝가리어 수업이 있는 ‘George Coșbuc’ 및 ‘Onisifor Ghibu’ 고등학교 등 혼합 학교도 있다. 통계에 따르면 1993~94학년도에 18,208명의 학생이 도시의 중등학교 시스템에 등록되었고, 18개 전문학교 중 한 곳에는 7,660명이 더 다녔다.같은 해에 초등학교와 유치원에 각각 37,111명의 학생과 9,711명의 어린이가 등록되었다.


Data

칼뱅 개혁교회와 성 조지(Saint George) 동상: 주소: Strada Mihail Kogălniceanu, Cluj-Napoca 400394 루마니아
예수회 대학의 벽: 주소:Strada Mihail Kogălniceanu 21, Cluj-Napoca 400394 루마니아/웹사이트: https://en.m.wikipedia.org/wiki/Jesuit_Academy_of_Kolozsvár
개혁 교구 사무소(Downtown Reformed Parish Pastor's Office): 주소: Strada Mihail Kogălniceanu 21, Cluj-Napoca 400394 루마니아/전화:+40264591270
국립대학 에밀 라코비타(National College "Emil Racoviţă"): 주소: Strada Mihail Kogălniceanu 9-11, Cluj-Napoca 400084 루마니아/전화:+40264591825/웹사이트: http://e-racovita.ro/
루치안 블라가 중앙대학교 도서관: 주소: Str. Clinicilor 2, Cluj-Napoca 400006 루마니아/전화: +40264597092/웹사이트: https://www.bcucluj.ro/
대학교 도서관(현재는 이전, Biblioteca Academiei Române din Cluj-Napoca): 주소:Strada Mihail Kogălniceanu 12-14, Cluj-Napoca 400084 루마니아/전화:+40264595027/
클루지나포카의 아르델란 학교의 조각상 그룹(Grupul statuar Școala Ardeleană din Cluj-Napoca): 주소: Strada Emmanuel de Martonne 1,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
연극영화학부(Faculty of Theater and Film): 주소: Strada Mihail Kogălniceanu 4, Cluj-Napoca 400084 루마니아/전화:+40264405357/웹사이트:https://teatrufilm.ubbcluj.ro/
바베슈 볼리아이 대학교(Universitatea Babeș-Bolyai): 주소:Strada Mihail Kogălniceanu 1, Cluj-Napoca 400347 루마니아/전화: +40264405300/웹사이트: https://www.ubbcluj.ro/ro/
루치안 블라가 고등학교(Lucian Blaga High School): 주소: Aleea Băișoara 2-4, Cluj-Napoca 400066 루마니아/전화: +40 264 546 627/웹사이트:https://liceulblagacluj.ro/